본문 바로가기

고린도전서

바울의 경주(고린도전서9:24-27)

바울의 경주(고린도전서9:24-27)


  바울이 복음의 일꾼으로 하나님 앞에 가서 받을 상에 대하여 얼마나 집착했는가에 대해 24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자들이 다 달아날지라도 오직 상 얻는 자는 하나 인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 너희도 얻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고 했습니다.
바울은 상을 얻는 일에 일등만을 생각했습니다. 이 같은 바울의 표현은 자신이 '복음을 전할 때에 값없이 전하고 복음으로 인하며 내게 있는 권을 다 쓰지 아니한' 자신의 처사가 바로 이런 상을 받으려는 욕망에서였음을 나타낸 것입니다.

 


1. 상을 얻는 자는 오직 하나


  바울이 이곳에서 비유적으로 말한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경우는 그 당시 대단한 인기리에 진행되었던 올림픽 경주를 의미합니다. 이 경기는 고린도 지역에서 2년마다 주기적으로 개최되었던 '이스미안 경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경기는 '올림피안 경기'와 함께 그리스 시대 경기 중 하나였습니다.
오직 상 얻는 자는 하나 인줄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고 했습니다. 육상 경기 중 가장 영광스러운 우승은 면류관을 쓰는 일이있습니다. 그런데 이 면류관은 오직 하나였습니다. 최우승한 선수만이 이 면류관을 쓸 수 있는 영광을 차지했습니다. 바울의 이 말은 구원을 얻는 자를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복음을 전한 자들에 대한 상에서 가장 영광스러운 상을 받는 감격을 이처럼 나타내고 있는 것입니다. 우리는 운동장에서 달음질하는 자들입니다. 운동장은 우리의 생애의 공간을 말합니다. 우리의 한 생애를 운동장에 비유한 것입니다. 그곳을 달음질한다고 했습니다. 이 달음질은 의미 있는 달음질입니다. 세상 사람들이 추구하는 명예와 영광과 부요를 위한 달음질이 아닙니다. 복음의 달음질입니다. 이 달음질에서 얻는 상은 썩지 아니할 면류관으로 우리가 하나님 앞에 가서 받을 상급을 의미합니다.
이 상은 최상의 영광이요 축복입니다. 이런 축복에 대해 예수님은 산상보훈에서 이처럼 말씀해 주셨습니다. '나를 인하여 너희를 욕하고 핍박하고 거짓으로 너희를 거스려 모든 악한 말을 할 때에는 너희에게 복이 있나니 기뻐하고 즐거워하라 하늘에서 너희의 상이 큼이라 너희 전에 있던 선지자들을 이같이 핍박하였느니라.'
바울이 이 경주장에서 이 영광의 면류관을 쓰려고 그가 달음질 한 모습을 고전4:11절 이하에서 '바로 이 시간까지 우리가 주리고 목마르며 헐벗고 매맞으며 정처가 없고 또 수고하여 친히 손으로 일을 하며 후욕을 당한즉 축복하고 핍박을 당한즉 참고 비방을 당한즉 권면하니 우리가 지금까지 세상의 더러운 것과 만물의 찌끼 같이 되었도다'고 했습니다.

 


2. 너희도 얻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


  바울은 복음의 상을 받기 위한 자신의 경우를 언급한 후, '너희도 얻도록 이와 같이 달음질하라'고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자기와 같은 심정으로 상을 얻기 위한 경주에 참여하라는 것입니다.
(1) 상을 얻는 자는 오직 하나라고 했습니다. 이 하나란 수효는 한 명이란 뜻은 아닙니다 올림픽 경기의 경우, 우승의 면류관을 얻는 자가 하나인 것처럼 이 면류관을 쟁취하기 위한 하나 되기 위해 달아나라고 한 말입니다. 우리의 경주는 육상경기와는 다릅니다. 우리는 맡은 직분을 따라 죽도록 충성하면 그 수효가 얼마이건 면류관을 받는 그 하나의 수요 들어갈 수 있는 것입니다.


(2) 이기기를 다투는 자마다 모든 일에 절제한다고 했습니다. 면류관을 바라보고 경기에 나가는 선수들은 비록 그들이 받을 면류관이 화관으로 만든 썩어질 것이지만 그 명예와 영광을 위해 오랜 기간 절제하면서 연습에 임하는 것입니다. 그들은 10여 개월간이나 훈련을 받았으며 음식이나 오락이나 수면이나 체중 조절 등에 있어서 말할 수 없는 극기 생활을 했습니다.


(3) 하물며 썩지 아니할 면류관을 바라보고 달음질하는 우리의 경우야 그들보다 얼마나 더 해야 하겠느냐는 것입니다. 썩지 아니할 면류관이란 하늘에서 우리가 받을 영원한 면류관으로 각기 행한바 에 따라 받을 영광의 상급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바울은 이런 면류관을 위해 자신이 절제한 일에 대하여 26절과 27절에서 말씀해 주고 있습니다.
향방 없는 것같이 아니했다고 했습니다. 달리기 선수가 그 달리는 방향을 모르고 달린다면 어찌 면류관을 받을 수 있을 것입니까? 그는 목표 없는 경주를 달린 것이 아니라 분명한 목표를 세우고 달음질했습니다. 그가 결과적으로 승리한 원인이 여기에 있었던 것입니다. 히1:2절에서 우리 앞에 당한 경주를 경주할 때, '믿음의 주요 또 온전케 하시는 이인 예수를 바라보자'고 했습니다. 다음에 바울은 허공을 치는 것같이 아니했다고 했습니다. 권투 선수가 허공을 친다면 점수를 딸 수 없습니다. 목표를 정하고 정확한 편치로 쳐야 하는 것입니다.


결론 : 그리고 바울은 내가 내 몸을 쳐 복종케 했다고 했습니다. 육신의 사람을 영으로 죽이는 생활로 순종의 열매를 맺었나고 한 것입니다. 바울은 '내가 남에게 전파한 후에 자기가 도리어 버림이 될까 두려워했다'고 했습니다. 버림이 된다는 의미가 아니라 될까 두려워 하는 마음을 가지고 달음질을 했다는 뜻입니다. 우리도 바울과 같은 이같은 자세로 복음의 일꾼이 되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