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도문

기도학의 정의

기도학(Prayerology)의 정의

 

1. 기도가 과연 독립된 한 분야의 '기도 학(Prayerology)'으로 연구될 수 있는가?

  기도는 신학의 네 분야인 주경신학(Exegetical Theology), 역사 신학(Historycal Theology), 조직신학(Systematic Theology, 실천신학 중에서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져야 한다. 현재 예배, 설교, 전도, 상담, 교회성장 등도 독립된 한 분야로 연구되어 예배학, 설교학, 전도학, 상담학, 교회성장학 등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 연구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기도'도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 '기도학'(Prayerology)으로 연구 되어져야 한다.

'기도학'은 실천 신학의 한 분야로서 성경 전체를 통하여 구약에서는 하나님께 선택받은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서의 하나님의 자기 계시와 은혜, 그리고 인간의 하나님께 대한 경외와 순종과 예배의 관계로서 신약에서는 예수님의 공생애를 통한 기도의 모범과 명령과 가르침에서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은 제자들의 하나님과의 관계로서 연구되는 학문이다.

2. '기도학'(Prayerology)에서는 무엇을 연구할 것인가?

 1) 성경에 나오는 모든 기도를 연구하여야 한다.

  --> 예수님의 공생애를 통한 기도생활 연구 --> 예수님의 기도명령, 기도방법 및 주기도문등 예수님의 기도교육 연구 --> 제자들의 기도 생활 연구와 특히 바울의 기도 연구 --> 신구약 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종들의 기도를 연구하며 시편의 기도 연구

 

 2) 기도에 관한 이론과 실제를 겸하여 연구하여야 한다.

  --> 기도란 무엇인가? 등 기도의 정의연구 --> 기도의 방법과 내용, 목적과 원칙 연구 --> 기도의 중요성 고찰 --> Q.T의 이론과 실제 연구 --> 성경적 기도의 응답과 무응답에 관한 연구 --> 성경적 새벽기도, 철야기도 연구 --> 성경적 금식기도, 방언기도, 신유기도, 안수기도, 예언기도 연구 --> 언제, 어디서 기도할 것인가 ? --> 기도의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를 연구한다.

 

기도 교육을 위한 제언

 기도는 입으로만 유창하게 잘하는 사람보다 참으로 모세, 다윗, 바울과 같이 하나님과 교통하는 기도의 사람이 되어야 할줄 안다.

그러기 위해서는 성경적 바른 기도를 신학대학에서 실천 신학의 한 과목으로 '이론과 실제'를 겸한 기도교육과 기도 훈련을 통하여 성경적 바른 기도를 체계적으로 가르침으로 바른 기도를 사는 목회자를 양성할 때에 온 교회가 성경적으로 바른 기도를 하는 성숙한 교회가 될 줄 안다.

따라서 각 신학대학에서 실천신학의 한 분야로 기도학을 강의 할 것을 제언하며, 또한 각 교회에서는 일정 기간을 정하여 전 교인에게 성경적 바른 기도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언한다.